오늘은 지루피부염!! 아토피피부염이 끝났으니 가벼운 마음으로..
지루피부염 Seborrheic Dermatitis 白屑風 面遊風
1. 정의 및 개요
- 기름성의 인설로 덮인 홍반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재발성 염증성 피부질환
- 피지선이 많은 두피, 안면부, 가슴, 겨드랑이, 가슴 아래, 배꼽, 서혜부, 둔부의 주름부위에 호발
2. 원인
- 병인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음 (아주 다양하군.. 썰이 많다=잘 모른다)
① 피지분비 과다: 피지선이 발달된 부위에 발생되므로 연관성 제시
② 미생물 분포의 불균형: Malassezia furfur (Pityrosporum ovale)이 두피에 많이 증식
->진균의 수적 증가에 의한 감염성 반응이라기보다 진균에 대한 비정상적 면역반응으로 인해 생긴다고 설명
③ 신경물질(L-dopa)의 비정상적인 대사: 파킨슨병, 간질, 알츠하이머병, 척수공동증 같은 신경계 질환에서 호발
④ 표피 증식의 이상: 건선과 유사하게 표피증식 증가, 세포 증식 억제 물질 투여시 증상 호전됨
⑤ 세포성 면역반응의 저하: HIV 감염, AIDS 등 면역 결핍 환자에서 지루피부염의 빈도가 증가
⑥ 물리적 요인: 낮은 온도, 낮은 습도의 환경에서 증상 악화 -> 겨울, 초봄에 악화
⑦ 신경이완제, 시메티딘과 같은 약물, 영양장애 등의 의해 유발
⑧ 내분비 질환, 스트레스, 소화 장애, 음주, 지방이 풍부한 음식물, 가족적 소인...
3. 증상
-주로 두피, 얼굴, 가슴 가운데, 등에 인설이 있는 누런색 혹은 붉은 색의 아급성 혹은 만성의 습진 병변으로 나타남
-nasolabial fold 부위에서 보이는 기름진 비늘이 특징
-유아기의 지루피부염: 생후 수주~3개월에 발생, 자연 치유되는 경향을 보인다. 주로 두피에 기름기가 있는 인설이 흔함
성인에 비해 치료 효과가 높으나 반응이 없으면 랑게르한스세포 조직구증, 아연결핍 등을 감별해야할 수 있음
-유아기의 아토피피부염, 건선, 체부백선, 장미색 비강진, 주사, 접촉피부염 등과의 감별이 필요함
4. 치료
- 환자에게 이 병은 만성적이며 재발을 잘한다고 사전 고지를 반드시 해야함.
1) 양방치료
- 두피: 주2-3회 selenium sulfide, zinc pyrithione, ketoconazole, 시클로피록스 등을 함유한 샴푸로 머리 감기
-> 요즘 시중에 나오는 일명 '탈모'샴푸에 zinc pyrithione과 selenium sulfide는 대부분 들어있더라.
- 두피: 국소 스테로이드제제를 도포할 수 있으며 샴푸 제제도 사용할 수 있다.
-> 국소 스테로이드제제는 병변이 잘 안보여 도포가 불편하고 스테로이드 샴푸는 피부과에서 처방을 잘 안해주더라..
- 다른 부위: 국소스테로이드 제제 혹은 국소칼시뉴린 억제제(따끔따끔)를 사용할 수 있다.
- 얼굴에 강한 등급의 스테로이드 제제를 오래 사용하면 모세혈관 확장, 피부위축, 여드름모양 발진, 주사 등 부작용!
- 전신 요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와 비타민제의 복용이 도움될 수 있다.
2) 한방치료
- 다른 습진과 기본적인 치료방향은 같음
- 역시나 history taking 철저히, 병의 외인/내인 잘 파악하기, 사용하던 약 줄일 시 천천히 테이퍼링하기
- 홍반, 구진 / 건조한 인설 / 기름진 인설 / 열감 등의 피부 상태를 잘 확인하기
- 스트레스와 식습관, 소화상태, 수면 등의 생활 패턴도 반드시 확인하기
보통 지루피부염은 급성 실열증보다는 열증을 겸한 만성 허증의 경향이 많음 | ||
허증 | 상열 + 혈허, 머리의 인설이 두드러지고 염증이 심하지 않을때 | 온청음 |
만성화 정도가 심하며 혈허증 양상 뚜렷 | 육미지황탕, 당귀음자, 생혈윤부음 | |
실증 | 가려움증, 진물 심한 경우 | 소풍산 |
실열증 (염증과 발적이 심할 경우) | 황련해독탕, 방풍통성산 | |
병변이 머리 위주, 열독 + 삼출, 황색 가피 | 치두창일방 | |
구진 + 화농, 모낭염으로 시작되거나 모낭염 동반한 지루피부염 | 십미패독산 | |
스테로이드 외용에 의한 주사모양 피부염 | 백호가인삼탕 가미소요산 |
|
EGFR 억제제 사용으로 발생한 지루피부염 | 형개연교탕 | |
변비를 동반하며 어혈징후가 있고 완고한 지루피부염 | 도핵승기탕 |
- 측백엽, 패모, 고삼 등이 항진균 효과가 있어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음.
지루피부염은 잘 안낫지만 꾸준하게 관리하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이다.
나도 두피에 염증이 좀 있는 편인데, 매번 관리하려 하지만 심하지 않아서 냅뒀다.
이번 기회에 다시 관심을 좀 가져봐야겠다. 근데 내 머리는 내가 볼 수가 없어서 할 맛이 안나....
포스팅 끝!
Reference
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편 / 의대생을 위한 피부과학 4판 / 고려의학 / 2017
안성구 외 8인 / 흔히 보는 피부질환 3rd edition / 정우의학서적 / 2015
하시모토 요시오 지음 / 한방 피부진료 레슨 / 염성환 주승현 옮김 / 물고기숲 / 2018
윤정제 지음 / 한의 피부진료 첫걸음 / 군자출판사 / 2019
Sampaio AL, Mameri AC, Vargas TJ, Ramos-e-Silva M, Nunes AP, Carneiro SC. Seborrheic dermatitis. An Bras Dermatol. 2011 Nov-Dec;86(6):1061-71.
신 윤진 et al. A Clinical Analysis of 140 cases of Seborrheic Dermatitis Patients.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8;31(1):81-90.
Kim Jeong-Yoon, et al. Efficacy of Herb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Seborrheic Dermatitis : Systematic Review.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8;31(3):67-83.
'통합(?)피부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습진성 피부질환(6): 습진의 한의치료 개요 (한약, 침 등등) (0) | 2021.08.25 |
---|---|
습진성 피부질환(5) : 기타 습진(한포진, 화폐상습진, 건성습진) (0) | 2021.08.24 |
습진성 피부질환(3): 아토피 피부염 - 치료(양방, 한방), 예후 (0) | 2021.08.17 |
습진성 피부질환(2): 아토피 피부염 - 정의, 병인, 증상, 진단 (0) | 2021.08.06 |
습진성 피부질환(1) : 습진, 접촉 피부염 (0) | 2021.08.04 |